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상시 근로자 수, 1분 만에 조회하고 증명서 발급받는 법! 상시 근로자 수 계산 및 조회 방법

by moneypick365 2025. 7. 17.
반응형

상시 근로자 수, 1분 만에 조회하고 증명서 발급받는 법! 상시 근로자 수 계산 및 조회 방법

 

정부 지원금 신청의 첫걸음, 상시 근로자 수 확인! 복잡한 계산법부터, 4대보험 사이트에서 1분 만에 조회하고 증명서 발급받는 방법까지. 사업주와 인사담당자를 위한 필수 정보를 총정리했습니다.

안녕하세요, 블로그 머니픽입니다! 사업체를 운영하다 보면 '상시 근로자 수'라는 말을 정말 자주 접하게 됩니다. 각종 정부 지원금 신청, 세금 감면 혜택, 청년내일채움공제 등 수많은 정책의 기본 자격 요건이 되기 때문이죠. 😊

하지만 "우리 회사 상시 근로자 수는 정확히 몇 명이지?", "아르바이트생도 포함해야 하나?" 등 막상 계산하려고 하면 헷갈리는 부분이 한두 가지가 아닙니다. 오늘은 정확한 상시 근로자 수 계산 방법과, 그보다 훨씬 간편하게 공식적인 인원 수를 조회하고 확인서까지 발급받는 실용적인 꿀팁을 모두 알려드릴게요!

 

상시근로자 수 조회 바로가기

 

1. 🧐 원칙부터 알자: 상시 근로자 수 계산 방법

먼저, 근로기준법상의 원칙적인 계산법을 알아두면 개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원리는 간단합니다.

상시 근로자 수 계산 공식 🔢

(산정기간 동안 사용한 연인원) ÷ (산정기간 중의 가동일수)

  • 연인원: 사업장 운영일 각각의 날에 근무한 근로자 수를 모두 합한 총인원
  • 가동일수: 실제로 사업장이 영업한 날짜 수

계산 시 제외되는 인원 🚫

단, 계산 시 대표이사 등 등기임원, 파견·용역 근로자 등은 상시 근로자 수에서 제외됩니다. 아르바이트생(단시간 근로자)의 경우, 근무 시간에 따라 0.5명 또는 1명으로 계산하는 등 복잡한 기준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 복잡하시죠? 그래서 대부분의 실무에서는 아래의 '조회 방법'을 사용합니다.

 

2. 💻 가장 쉬운 방법: 4대보험 사이트에서 조회하기

대부분의 정부 지원 사업에서는 복잡한 계산 대신, 4대 사회보험에 가입된 근로자 수를 상시 근로자 수로 인정해줍니다. 따라서 사이트에서 가입자 명단을 조회하는 것이 가장 빠르고 정확한 방법입니다.

💡 '4대 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활용법
  1. 4대 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www.4insure.or.kr)에 접속합니다.
  2. 사업장 명의의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로 로그인합니다.
  3. [증명서 발급] 메뉴에서 [사업장 가입자 명부]를 선택합니다.
  4. 국민연금, 고용보험 등 원하는 보험을 선택 후 신청하면, 현재 가입된 전체 근로자 명단과 총 인원을 바로 확인하고 출력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EDI,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 등 개별 보험 사이트에서도 동일한 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3. 📄 '상시 근로자 수 확인서' 발급받기

정부 지원 사업 신청 시, 상시 근로자 수를 증빙하기 위한 공식 서류가 필요합니다. 이때 '상시 근로자 수 확인서'라는 이름의 단일 서류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대신, 위에서 설명한 '사업장 가입자 명부' 또는 '고용보험 자격취득자 명부'가 공식적인 확인서 역할을 합니다. 이 서류를 발급받아 제출하면 됩니다.

정확한 상시 근로자 수 확인, 이제 어렵지 않으시죠? 우리 회사의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여 다양한 정부 지원 혜택을 놓치지 말고 모두 챙기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