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프 내용증명] 전세보증금 반환, 이 양식대로만 쓰세요!](https://blog.kakaocdn.net/dna/cjwhkn/btsO5w39rZx/AAAAAAAAAAAAAAAAAAAAADuQqJag6RgzGevBEfHWJLQ56dnmEYN08REfioWHzCRY/img.jp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539739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rNuG%2F2hI18tY%2B4fG3Nbi242TvDQ%3D)
살다 보면 정말 말이 통하지 않는 답답한 상황이 꼭 생기더라고요. 빌려준 돈을 차일피일 미루는 친구, 계약 기간이 끝났는데도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는 집주인 등... 대화로 해결해보려 해도 상대방이 무시로 일관하면 정말 막막하죠. 이럴 때 우리가 할 수 있는 가장 첫 번째 공식적인 조치가 바로 '내용증명'을 보내는 것입니다. 😊
내용증명이란 무엇일까요? ⚖️
내용증명은 '내가', '누구에게', '언제', '어떤 내용의 문서'를 보냈다는 사실을 우체국이 공적으로 증명해주는 제도입니다. 내용증명 자체만으로 법적인 강제력이 생기는 것은 아니지만, 상대방에게 나의 요구사항을 명확히 전달하고,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분쟁에서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매우 강력한 증거자료가 됩니다.
쉽게 말해, "나는 분명히 이렇게 요구했고, 당신은 이 사실을 전달받았다는 것을 우체국이 증명합니다"라는 공식적인 기록을 남기는 것이죠. 이것만으로도 상대방에게 상당한 심리적 압박을 주어 문제가 원만히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내용증명은 법률 전문가가 아니어도 누구나 쉽게 작성하고 보낼 수 있습니다. 겁먹지 말고 차근차근 따라 해보세요!

*해당 양식은 "친절한라온씨"블로그 무료나눔에서 가져온 양식입니다
내용증명 작성법 (이것만 기억하세요!) 📝
내용증명은 정해진 양식은 없지만, 필수적으로 들어가야 할 내용들이 있습니다. 아래 순서에 따라 작성하면 누구나 쉽게 완성할 수 있습니다.
- 발신인 & 수신인 정보 기재: 보내는 사람(발신인)과 받는 사람(수신인)의 이름, 주소, 연락처를 정확하게 기재합니다. 주소는 반드시 등기우편이 도달할 수 있는 정확한 주소여야 합니다.
- 제목 작성: 문서의 목적을 한눈에 알 수 있도록 '전세보증금 반환 청구', '대여금 상환 독촉' 등 핵심적인 내용으로 제목을 정합니다.
- 본문 작성 (육하원칙):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감정적인 호소는 빼고, 언제, 어디서, 누가, 무엇을, 어떻게, 왜에 해당하는 사실관계를 객관적으로 서술합니다. 그 후, 상대방에게 원하는 요구사항(ex: 언제까지 돈을 입금하라)을 명확하고 단호하게 작성합니다.
- 날짜 및 서명: 문서를 작성한 날짜를 기재하고, 발신인의 이름을 쓴 뒤 서명 또는 도장을 찍습니다.
✍️ 작성 예시 (전세보증금 반환)
제목: 전세보증금 반환 요청에 대한 내용증명
본문:
1. 발신인은 2023년 8월 1일 수신인과 서울시 OO구 OO동 123-45 빌라 101호에 대해 임대차 계약(보증금 1억 원, 2년)을 체결하고 거주해왔습니다.
2. 2025년 7월 31일부로 계약이 만료됨에 따라, 발신인은 계약 만료 3개월 전인 2025년 4월 30일 경 유선상으로 계약 갱신 의사가 없음을 통보하였습니다.
3. 따라서 수신인께서는 계약 만료일인 2025년 7월 31일에 전세보증금 1억 원 전액을 아래의 계좌로 반환해 주시기를 요청합니다.
- 은행: OO은행, 계좌번호: 123-456-7890, 예금주: 홍길동
4. 만약 위 기일까지 보증금 반환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임차권 등기명령 신청 및 보증금 반환 청구 소송 등 법적 조치를 취할 수밖에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내용증명 발송 방법 (A to Z) 📮
작성이 완료되었다면 이제 발송할 차례입니다. 똑같은 내용의 문서 **총 3부를 준비**해서 가까운 우체국으로 가세요.
- 1부: 수신인에게 발송되는 원본
- 1부: 우체국에서 보관 (3년간)
- 1부: 발신인이 직접 보관할 사본
우체국 창구 직원에게 "내용증명 보내러 왔어요"라고 말하고 준비한 3부를 제출하면, 직원이 내용 일치 여부를 확인 후 각 서류에 '내용증명우편' 도장을 찍어줍니다. 이때, 반드시 '배달증명' 서비스를 추가하세요. 배달증명은 상대방이 언제 문서를 받았는지 그 수령 날짜까지 증명해주기 때문에 필수입니다!
내용증명 효력의 핵심은 '상대방에게 내 의사가 도달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배달증명을 통해 수령 사실을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만약 상대방이 고의로 수령을 거부하더라도, 그 거부 사실 자체가 추후 소송에서 유리한 증거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내용증명 핵심 4단계 요약
자주 묻는 질문 ❓
내용증명은 더 이상 피할 수 없는 문제에 대해 '공식적으로' 행동을 개시하는 신호탄과 같습니다. 이 글을 통해 내용증명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떨치고, 여러분의 소중한 권리를 당당하게 지키시길 바랍니다.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