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크넷 구직활동, '불러오기'로 1분 만에 고용센터에 전송하는 법 [실업급여 최종제출] 워크넷 활동내역 연동 및 온라인 증빙 방법](https://blog.kakaocdn.net/dna/ezwofg/btsPmglZ9JY/AAAAAAAAAAAAAAAAAAAAANdDPhojaG-pqLZ-z105ybBycraUXpwZVX3g0OH81IVZ/img.jp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539739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X8Hga9FEQfiby1mGRg2ufzv5Ua8%3D)
워크넷에서 온라인 취업특강도 듣고, 입사지원도 마치셨나요? 축하합니다! 이제 구직활동 증명의 9부 능선을 넘으셨습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마지막 단계가 남았죠. 바로 내가 한 활동을 고용보험 홈페이지에 '제출'하여 공식적으로 인정받는 것입니다. 😊
많은 분들이 워크넷에서 활동만 하면 자동으로 제출되는 것으로 오해하시는데요, 이는 사실이 아닙니다. 오늘은 워크넷 활동내역을 고용센터로 전송하고, 최종 실업인정 신청서를 제출하는 전 과정을 상세히 알려드릴게요. 혹시라도 등록이 안 될 때 해결법까지 담았으니, 이 글을 보며 차근차근 따라 해 보세요!
1. ✅ 제출 전 최종 확인: 나의 구직활동 내역 조회
고용보험 사이트로 넘어가기 전, 내가 한 활동이 워크넷에 잘 기록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워크넷 홈페이지(www.work.go.kr)에 로그인합니다.
- [마이페이지]에 들어가 [입사지원 관리]나 [온라인 취업특강] 등 내가 활동한 메뉴를 클릭합니다.
- 활동 날짜와 내용이 정확하게 기록되어 있는지 최종적으로 확인합니다.
2. 🔄 '워크넷 연동'으로 1분 만에 제출 끝!
워크넷 활동의 가장 큰 장점은 바로 '자동 연동' 기능입니다. 이제 고용보험 홈페이지로 이동하여 내 활동 내역을 불러오기만 하면 됩니다.
고용보험 실업인정 신청 및 워크넷 연동 방법
- 고용보험 홈페이지(www.ei.go.kr)에 로그인 후, [실업인정 인터넷 신청] 메뉴를 클릭합니다.
- 개인정보 및 실업 사실 등을 확인하며 단계를 진행합니다.
- '재취업활동' 단계에서 '구직활동내역'의 [워크넷 구직활동 불러오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 팝업창에 내가 워크넷에서 활동한 내역(입사지원, 취업특강 등)이 뜨면, 원하는 활동을 체크하고 [선택]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내용이 입력됩니다.
3. 🚨 '등록/전송'이 안 될 때 문제 해결
[불러오기] 버튼을 눌렀는데 활동 내역이 뜨지 않거나, 구직활동 등록 자체가 안 될 때는 몇 가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 '구직신청' 상태 확인: 워크넷에 구직신청을 하지 않았거나, 신청 후 고용센터의 '인증'을 받지 않은 상태, 또는 구직등록 유효기간이 만료된 경우입니다. 워크넷 마이페이지에서 구직신청 상태를 확인하세요.
- 외부 사이트 활동: '불러오기' 기능은 워크넷 내에서의 활동만 해당됩니다. 사람인, 잡코리아, 이메일 지원 등은 이전 글에서 설명한 캡쳐 후 파일 첨부 방식으로 직접 등록해야 합니다.
- 시스템 반영 시간: 활동을 완료한 직후에는 아직 시스템에 반영되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 최소 몇 시간의 간격을 두고 다시 시도해보세요.
위 세 가지에 해당하지 않는데도 문제가 지속된다면, 워크넷 고객센터(1577-0360)로 문의하는 것이 가장 빠릅니다.
4. 📄 구직활동 증명서 출력은 언제?
'워크넷 구직활동 증명서'는 보통 실업인정 온라인 제출 시에는 거의 필요 없습니다. 이 서류는 다른 기관(지자체, 금융기관 등)에 나의 구직활동 사실을 증명해야 할 때 출력하여 사용하는 용도입니다. 워크넷 마이페이지에서 '구직등록확인증' 또는 '입사지원 관리' 내역을 인쇄할 수 있습니다.
구직활동을 하고, 그 내역을 확인하고, 최종적으로 전송하는 것까지! 이제 모든 과정을 마스터하셨습니다. 실업인정일 당일, 당황하지 말고 오늘 알려드린 대로 차분하게 진행하여 소중한 실업급여를 빠짐없이 받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