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번 포스팅에서 알려드린 방법으로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신청 잘 마치셨나요? 며칠 뒤 "지원 대상자로 선정되셨습니다"라는 반가운 알림톡을 받으셨을 텐데요. 축하드립니다! 🎉
자, 이제 두둑해진 50만 원 크레딧을 어떻게 사용해야 할지 궁금하실 거예요. '이게 현금처럼 바로 들어오는 건가?', '전기요금은 어떻게 내야 크레딧이 차감되지?' 하고 말이죠. 그래서 오늘은 사장님들의 궁금증을 시원하게 해결해 드리기 위해, 부담경감 크레딧의 사용처와 구체적인 납부 방법을 총정리해서 가져왔습니다! 😊
1. 크레딧은 어떻게 지급되나요? 💳
우선 가장 기본적인 지급 방식부터 알아볼게요. 부담경감 크레딧 50만 원은 현금으로 계좌에 입금되는 것이 아니라, 사장님이 신청 시 선택했던 본인 명의의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에 포인트(크레딧) 형태로 충전되는 방식이에요.
- 선정 알림: 신청 후 2~3일 내에 알림톡으로 대상자 선정 안내를 받습니다.
- 카드사 확인: 알림을 받았다면 신청했던 카드사 앱이나 홈페이지에 접속해 크레딧 지급 여부를 확인합니다.
- 자동 차감: 이제 해당 카드로 아래에 설명해 드릴 사용처에서 결제하면, 50만 원 한도 내에서 자동으로 크레딧이 먼저 차감됩니다.
만약 체크카드로 크레딧을 받았다면, 결제 시 통장에서 돈이 빠져나가는 대신 충전된 크레딧에서 차감됩니다. 신용카드의 경우, 결제 대금에서 크레딧 사용분만큼 제외하고 청구된답니다.
2. 어디에 사용할 수 있나요? (주요 사용처) 🧾
50만 원 크레딧은 가게 운영에 가장 큰 부담이 되는 '고정비' 항목에 사용할 수 있도록 지정되어 있어요. 아무 곳에서나 쓸 수 있는 건 아니니, 사용처를 정확히 확인해야 합니다.
사용 가능 항목 ✅
- 공과금: 사업장 명의의 전기요금, 가스요금, 수도요금
- 4대 사회보험료: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료 (대표자 본인 및 사업장 부담분 모두 포함)
가장 중요한 점! 전기요금이나 4대 보험료를 자동이체로 설정해 둔 경우 크레딧이 적용되지 않아요. 반드시 자동이체를 잠시 해지하고, 해당 요금 납부 사이트에서 '건별 납부' 또는 '카드 납부'로 직접 결제해야 합니다.

3. 실전! 항목별 납부 방법 👩💻
그럼 이제 실제로 어떻게 요금을 납부해야 하는지 알아볼까요? 대표적인 전기요금과 4대 보험료 납부 방법을 예시로 알려드릴게요.
📝 예시 1: 전기요금 납부하기
한전 ON(사이버지점)을 이용하면 간편하게 납부할 수 있어요.
- 한전 ON 사이트 또는 앱에 접속 후 로그인합니다.
- '요금납부' 메뉴에서 청구서를 조회합니다. (고객번호 필요)
- 결제 수단으로 '신용카드'를 선택합니다.
- 크레딧을 지급받은 바로 그 카드의 정보를 입력하고 결제를 완료합니다.
📝 예시 2: 4대 보험료 납부하기
국민건강보험 '사회보험통합징수포털'에서 모든 사회보험료를 한 번에 납부할 수 있습니다.
- 사회보험통합징수포털에 접속하여 사업장 회원으로 로그인합니다.
- '보험료 납부' 메뉴에서 '보험료 납부'를 선택합니다.
- 조회된 보험료를 확인하고 '납부' 버튼을 클릭합니다.
- 결제 화면에서 '신용카드'를 선택하고 크레딧이 충전된 카드로 결제합니다.
크레딧 사용 핵심 요약
자주 묻는 질문 ❓
사장님들의 고정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소중한 지원금인 만큼, 오늘 알려드린 방법으로 1원도 놓치지 말고 알뜰하게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연말까지 기한이 넉넉하니, 매달 나오는 공과금과 보험료를 꾸준히 납부하시면 금방 소진하실 수 있을 거예요!
더 궁금한 점은 언제나 댓글로 남겨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