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6년 최저시급이 10,320원으로 최종 결정되었다는 소식, 모두 들으셨죠? 가장 궁금한 것은 역시 "그래서 내 월급, 통장에 실제로 얼마가 들어오는 거지?"일 겁니다. 😊
단순히 시급에 근무시간을 곱하는 것을 넘어, 복잡한 4대보험과 세금까지! 오늘은 2026년 최저임금 기준 월급과 연봉, 그리고 각종 공제 항목을 제외한 '실수령액'이 얼마인지, 아르바이트생의 주휴수당은 어떻게 계산되는지까지! 근로자의 입장에서 가장 궁금해할 모든 정보를 알기 쉽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 2026년 최저임금 월급 & 연봉 (세전)
먼저 세금을 떼기 전, 공식적인 최저임금 월급부터 알아보겠습니다.
- 2026년 최저시급: 10,320원 (2025년 대비 2.9% 인상)
- 주휴수당 포함 월급: 2,156,880원 (월 209시간 기준)
- 2026년 최저연봉: 2,156,880원 × 12개월 = 25,882,560원
주 5일, 하루 8시간 근무 시 (주 40시간의 유급 근로시간 + 주 8시간의 주휴시간) × 4.345주(월 평균)로 계산되어 약 209시간이 됩니다. 주휴수당이 포함된 계산법입니다.
2. 🧮 2026년 최저임금 실수령액 계산기
이제 가장 중요한 '실수령액'입니다. 위 월급에서 4대 보험료와 소득세를 공제해야 내 통장에 실제로 들어오는 금액이 됩니다.
최저임금 실수령액 계산 결과 (1인 가구, 비과세액 없음 기준)
월급여 (세전) | 2,156,880 원 |
- 공제 내역 - | |
국민연금 (4.5%) | - 97,050 원 |
건강보험 (3.545%) | - 76,460 원 |
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의 12.95%) | - 9,900 원 |
고용보험 (0.9%) | - 19,410 원 |
근로소득세 (간이세액) | - 22,040 원 |
공제액 합계 | - 224,860 원 |
예상 실수령액 (세후) | 1,932,020 원 |
※ 4대보험 요율은 2025년 기준이며, 근로소득세는 1인 가구, 비과세액 0원 기준 간이세액표를 적용한 예상치로 실제와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3. 🕒 아르바이트 시급 및 주휴수당
2026년에는 아르바이트를 하더라도 시간당 최소 10,320원을 보장받습니다. 여기서 더 중요한 것이 바로 '주휴수당'입니다.
아래 2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하면 아르바이트생도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1. 1주일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
2. 계약된 근무일에 모두 개근
예를 들어, 주 20시간(하루 4시간, 5일) 근무하는 아르바이트생의 주급은 (20시간 × 10,320원) + (4시간 × 10,320원) = 247,680원이 됩니다. (뒤의 (4시간 x 10,320원)이 주휴수당)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해 변하는 내 월급, 이제 확실히 아시겠죠? 2026년에는 오른 시급만큼 여러분의 살림살이도 조금 더 넉넉해지기를 바랍니다.